(사)유라시안네트워크에서 주최한 역사인문학특강 "천부경을 만나다"에 참석하였습니다. 세 명의 강사가 각각 <수학적 우주관을 통해서 본 천부경>, <동양철학의 뿌리 천부경>, <세상의 전부, 천부경: 자유 시장과 무한경쟁을 바탕으로 하는 자본주의와 진화론적 가치를 대체하는 우리의 철학, 천부경을 말하다> 등의 주제로 강의를 하고 토론과 질의응답이 이어졌습니다.
강의 내용 중에 관심이 갔던 부분은 철학자 하이데거가 박종홍교수에게 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동양학을 공부하던 중 아시아의 문명 발상지는 한국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는 것, 세계 역사상 가장 평화적 정치로 2천년 이상 대륙을 통치한 조선이 있음을 알았다는 것, 동양사상의 종주국인 한국을 존경한다는 것, 그러나 천부경을 이해할 수 없으니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는 것 등이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한류는 고도의 지도력을 발휘할 천부경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였습니다.
좌석을 꽉 채운 청중들은 대부분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이었습니다. 그리고 강의를 한 분들은 경력을 보니 다른 일들을 해오다가 뒤늦게 천부경 연구를 한 분들이었습니다. 강의 중에 중국연구자가 주역을 공부하며 평생 풀지 못한 내용을 한국에 와서 천부경에 대한 강의를 듣고 다 풀고 이해했다는 이야기등은 하이데거 이야기와 함께 많이 아쉽다는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이나 없는 역사도 만들어 자신들을 과장하는데 우리는 있는 것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요즘 우리의 전통 음악 등을 이어받은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많은 활약을 하는 것처럼 이 역사 부분도 젊은 학자들이 참여하여 감추어지고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는 내용들이 밝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절이 하수상하니 2천년의 평화 정치라는 단어도 유난히 귀에 들어왔습니다.
'사회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품 TV 송파 방이복지관에 기증하다 (0) | 2015.12.24 |
---|---|
<1946년 350만달러 4개국, 2014년 1조1천억달러 실적> 우리 모두에게 감사합니다. (0) | 2015.11.19 |
기획재정부 후원 한국정책학회 및 조세연구원 주최 "공공기관 지배구조와 OECD 가이드라인 : 변화와 발전 방향" 세미나 참석 (0) | 2015.11.14 |
벤처기업협회 및 한국중소기업학회 주관 "한국의 벤처 20년 성과와 과제" 심포지엄 참석 (0) | 2015.11.12 |
사회적경제 리더십포럼 "한국경제, 사회적 경제, 그리고 사회적 투자" 참석 (0) | 2015.11.10 |